블로그를 처음 시작할 땐 그저 ‘글을 써야지’라는 마음뿐이었어요.
하지만 한 편, 두 편 쌓아가며 루틴 시리즈를 완성하고 나니 자연스럽게 다른 고민이 생겼습니다.
색인을 어떻게 해야 할까?
애드센스 수익화는 가능할까?
기존 글들을 리패키징해서 다시 살릴 수 있을까?
오늘은 이 세 가지를 중심으로 제가 직접 해본 경험과 그 과정에서 얻은 통찰과 함정을 함께 나눠보려 해요.
🔍 색인 요청 : 단순하지만 중요한 첫 단추
티스토리 블로그를 만들고 가장 먼저 부딪힌 현실은 바로 이거였습니다.
“내 글이 검색이 안 돼요.”
처음엔 검색엔진 색인을 그냥 기다리기만 했습니다.
그런데 며칠이 지나도, 몇 주가 지나도 반응이 없더라고요.
그래서 결국 색인 요청을 수동으로 시작했죠.
1️⃣ 구글 서치 콘솔 등록
2️⃣ RSS 제출 및 사이트맵 설정
3️⃣ 각 글마다 색인 요청 버튼 눌러주기
결과적으로 정확한 구조화와 꾸준한 요청이 쌓이자 시간차는 있더라도 하나씩 검색에 노출되기 시작했어요.
❗️주의할 점 : 아무리 좋은 글이어도 색인 안 되면 끝입니다.
기본적인 세팅과 색인 요청은 ‘선택’이 아닌 ‘전제 조건’이에요.
💰 수익화 : 현실적인 기대치부터 설정하자
“애드센스 붙이면 월 몇 만원은 나오는 거 아니야?”
솔직히 저도 그런 기대를 했어요.
하지만 수익화는 유입과 체류시간이 먼저입니다.
저의 과정은 이랬어요.
• 초기 : 애드센스 승인 → 노출은 되지만 클릭 거의 없음
• 중기 : 글의 체류시간 늘어나며 클릭률 조금씩 증가
• 현재 : 유입 높은 글에서만 수익이 나오는 구조
그 결과, 아직은 소액 수익이지만 “누군가 내 글을 보고 광고를 클릭했다”는 사실 자체가 꾸준히 이어갈 수 있는 작은 동기부여가 되더라고요.
✅ 팁 : 수익보단 신뢰, 수익화보단 구조화.
애드센스는 ‘도구’이지 ‘목표’가 아니에요.
🔁 리패키징 : 기존 글을 다시 살리는 전략
루틴 시리즈를 쓰다 보면 글이 점점 뒤로 밀려납니다.
그냥 묻히게 둘 순 없었죠.
그래서 선택한 방식이 바로 리패키징이었어요.
1️⃣ 네이버 블로그에 요약 정리 형태로 재업로드
2️⃣ 썸네일 이미지 새롭게 제작
3️⃣ 문장 스타일 / 제목 일부 수정
4️⃣ 마지막에 원문 링크 삽입
그 결과
• 검색 유입 분산 : 티스토리뿐 아니라 네이버에서도 유입
• 몰입도 상승 : 블로그 전체 콘텐츠가 ‘시리즈’로 보이게 됨
• 자기 검토 효과 : 다시 읽으며 부족한 부분도 다듬게 됨
리패키징은 단순한 복붙이 아니라 콘텐츠를 ‘다시 살아나게’ 만드는 두 번째 창작이었어요.
✍️ 루틴 글 외에도 나눌 이야기가 많아요
처음엔 “내가 루틴 글 말고 다른 걸 써도 되나?” 싶었어요.
그런데 이렇게 직접 겪은 이야기를 정리하다 보니 의외로 이게 더 솔직하고 현실적인 콘텐츠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.
색인, 수익화, 리패키징...
이런 이야기들도 블로그 성장의 한 축이라는 걸 이제는 확신할 수 있습니다.
🔖 여러분도 해보셨나요?
블로그를 운영하며 겪은 시행착오나 작지만 확실한 변화들이 있다면 댓글로 나눠주세요.
‘루틴 외 콘텐츠’를 함께 만들어가고 싶어요.
📎 이 글은 루틴 외 실전 경험을 정리한 글이에요.
다음 글에서는 더 깊은 주제로 얘기 나눠볼게요 :)
'루틴메이트의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제, 블로그는 성장했다. 그 다음은 뭘 할 수 있을까? (6) | 2025.08.14 |
---|---|
이제 루틴을 어떻게 다시 시작해야 할까? — 리셋과 재출발 전략 (3) | 2025.07.31 |
루틴은 했는데, 왜 변화는 없었을까? — 성과 점검과 자기 점검 (5) | 2025.07.30 |
꾸준히 글을 썼는데, 왜 검색 유입은 없을까? — 유입 부진 원인 분석 (6) | 2025.07.29 |
루틴은 왜 필요할까? | Routine Flow — 루틴메이트의 건강 & 라이프 시작 이야기 (5) | 2025.06.06 |